출판물

백범과 민족운동연구

No Image
상세내용
제목 백범과 민족운동연구 10집
저자
전체
    1. 한국의 남북분단과 백범 김구의 통일론 - 신용하 원문보기
      • 1. 머리말
      • 2. 백범의 통일된 조국의 자주독립 추구
      • 1) 통일된 조국의 자주독립의 목표
      • 2) 신탁통치 반대운동과 좌우합작 7원칙 지지
      • 3. 백범의 UN총회 결의 지지와 통일 대한민국
      • 4. 백범의 UN소총회 결의 반대와 단독정부 문제
      • 5. 한국전쟁(동족상잔 내전) 방지와 남북협상 제의
      • 1) 한국전쟁(동족상잔 내전) 예방
      • 2) 남북협상 제의
      • 6. 1948년의 남북협상
      • 1) 제1차 남북협상
      • 2) 남북 분단정부의 수립문제
      • 7. 백범의 UN총회의 대한민국 승인의 환영
      • 8. 평화통일의 길
      • 9. 맺음말
    2. 1970년대 베트남에서의 통일과 사회 변화 - 팜 꾸앙민(Pham Quang Minh) 원문보기
      • 1. 문제제기
      • 2. 종전 시 베트남 남부의 상황
      • 3. 국토 통일 계획
      • 4. 경제개혁과 발전 실패의 사실
      • 5. 국제적 및 국내적 결과
      • 6. 결론
    3. 대만과 중국의 관계 : 대만의 관점에서 - 유덕해(劉德海) 원문보기
      • 1. 서론
      • 2. 양안관계의 발전궤적
      • 제1시기(1949~1978년)
      • 제2시기(1979~1986년)
      • 제3시기(1987~1995년)
      • 제4시기(1996~2008년)
      • 제5시기(2008~현재)
      • 3. 결론
    4. 독일 통일 : 편입(Beitritt) 20년 - 진행되지 말아야 했을 실험의 결과 - 라이 콜모르겐(Raj Kollmorgen) 원문보기
      • 1. 평화적 혁명에서 편입으로 : 통일 전략의 탄생
      • 2. 이전과 동독 재건 : 편입의 직접적 결과
      • 3. 20년후 : 통일논리의 성과와 과제
      • 4. 요약과 전망 : 실험이 되돌아오다
    5. 남북통일의 현안과 전망 - 문정인 원문보기
      • 1. 서론
      • 2. 남북통일이란 무엇인가? - 통일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
      • 1) 단일민족국가로의 통일
      • 2) 연방제 통일
      • 3) 낮은 단계의 연방제
      • 4) 3단계 통일론에서의 남북연합(The South-North Confederation)
      • 5)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에서의 남북연합(The Korean Commonwealth)
      • 3. 남북통일 어떻게 이룰 것인가? - 통일방식에 대한 논의
      • 1) 흡수형 통일
      • 2) 무력형 통일
      • 3) 신탁형 통일
      • 4) 합의형 통일
      • 4. 통일에 대한 미래전망
      • 5. 결론
    6. 상해 임시정부의 정국쇄신과 남만주와의 관계-정의부를 중심으로 - 윤대원 원문보기
      • 1. 머리말
      • 2. 국민대표회의 이후 상해 정국과 정의부의 성립
      • 1) 상해 정국과 서간도
      • 2) 전만통일회의와 정의부의 성립
      • 3. 상해의 정국쇄신과 정의부와의 제휴
      • 1) 정국쇄신과 헌법개정
      • 2) 정의부와의 제휴`
      • 4. 정의부 중앙행정위원회와 중앙의회의 갈틍
      • 1) 군민대표회의와 정의부의 내분
      • 2) 정의부의 재정비
      • 5. 맺음말
    7. 백범 김구와 한인애국단 - 한시준 원문보기
      • 1. 머리말
      • 2. 한인애국단의 결성과 김구
      • 1) 한인애국단의 결성
      • 2) 한인애국단장 김구
      • 3. 김구의 한인애국단 활동과 그 영향
      • 1) 단원모집과 자금,폭탄 준비
      • 2) 의열투쟁을 통한 반침략전
      • 3) 반침략전의 성과와 영향
      • 4. 김구의 리더십과 의열투쟁에 대한 이해
      • 1) 동지에 대한 믿음
      • 2) 의열투쟁과 테러의 차이
      • 5. 맺음말
    8. 이봉창의거의 역사적 성격과 그 평가 - 김도형 원문보기
      • 1. 머리말
      • 2. 이봉창은 왜 일왕을 대상으로 삼았는가
      • 3. 이봉창의거 후 김구는 무엇을 하였는가
      • 4. 이봉창의거를 원조한 하와이의 한인들은 누구인가
      • 5. 이봉창의거를 어떻게 평가해야 하나
      • 6. 맺음말
목록
주소 : [04311]서울시특별시 용산구 임정로 26(효창동 255)
전화 : 02-799-3400|팩스 : 02-718-1311
대관문의 전화 : 02-799-3424
대관문의 이메일 : 9073908@kimkoo.or.kr

COPYRIGHT ALL RIGHTS RESERVED